본문 바로가기
Book Tip

[중국소설] 삼국지 등장인물 소개, 유명한 일화 추천

by 팁퍼벨 2023. 8. 16.

목차

    "삼국지"는 중국 역사 소설로, 중국의 세 나라 시대(220년에서 280년)의 사건을 바탕으로 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중국의 역사와 문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많은 등장인물들이 풍부한 개성과 복잡한 관계로 묘사되어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등장인물과 유명한 일화를 소개합니다.

     

    삼국지 등장인물

     

    인물소개

    • 조조: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원래는 한 동맹인데 자신의 목적을 위해 반란을 일으켜 후한(후진)을 충돌시킵니다. 후한을 정복한 뒤 큰 권력을 획득하고 분분한 정책과 능력으로 유명합니다.
    • 손권: 삼국 중 하나인 동우(동우)의 창건자로, 주로 남방을 다루는 등장인물입니다. 동우(동우)는 후한을 파괴한 뒤 독립국가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 장훈: 양반 중 한 사람으로, 장재의 고문으로 나온 지식인으로 유명합니다. 전략가이며 "술취한 장비"로 불리며 후한과 삼국 시기 중 주요 인물 중 한 명입니다.
    • 마초: 무공을 가진 삼국 시대의 장수 중 한 명으로, 후한을 반란을 일으킨 반란군의 지도자 중 한 명입니다.
    • 유비: 조조와 경쟁하는 등장인물로, 후한 출신이며 후한을 무너뜨린 조조에게 항복합니다. 나중에 삼국 중 하나인 삼국의 첫 번째 후한(촉한)을 세우게 됩니다.
    • 제갈량: 후한 말기에 활약한 무공과 정략가로, 후한의 총괄군사였으며 후한의 위기를 돕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이후 삼국 중 하나인 진국의 기반을 마련하게 됩니다.

     

     

    유명한 일화

     

    적벽대전 (Battle of Red Cliffs)

     

    적벽대전은 "삼국지" 소설에서 가장 유명한 대전 중 하나로, 조조와 다른 두 장수인 손권과 장훈 간의 대결을 다루고 있습니다. 

     

    적벽대전은 후한의 큰 군대가 삼국 연맹인 동우(동우)에게 침공을 시도하고, 동우(동우)의 연맹 장수들이 함께 저항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조는 큰 군대와 함께 적벽(붉은 절벽) 지역에 이르렀는데, 이곳에서 동우(동우) 연맹의 연합군에 맞서게 됩니다. 그러나 손권과 장훈은 불리한 지형과 날씨를 이용하여 화살과 불로 조조의 큰 군대를 약화시키며 격파하는 전략을 세웁니다.

     

     

    이 대전은 조조의 대규모 군사력을 상대로 약한 위치에 있는 동우(동우) 연맹의 전략적 천재들의 승리로 이어지게 됩니다. 적벽의 만약은 "삼국지" 소설에서 가장 유명한 에피소드 중 하나로 강력한 전략과 지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조조와 그의 대적들 간의 정면 대결에서 벗어나다양한 전략적 요소를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삼국지 등장인물

     

    파부침주(破釜沉舟)

     

    제갈공량은 유명한 전략가로서 파부침주 일화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일화는 후한이 진국과의 전쟁에서 어려운 상황에 처한 상황에서 제갈량이 특이한 전략을 사용하는 내용입니다.

     

    전장에 도착한 후에 제갈공량은 병사들에게 배를 태우고 강을 건너지 말고 모두 도개된 상태로 길을 막으라고 명령했습니다. 또한 대량의 냄비와 주걱을 준비하게 했습니다. 이후 제갈공량은 명령을 내리며 병사들에게 "모두 자신의 길을 파라. 만약 물러나지 못하게 하려면 병기를 치지 말고, 돌아가지 못하게 하려면 다리를 끊어 버려라"라고 말했습니다.

     

     

    이로써 제갈공량은 병사들에게 후한으로 돌아가지 말고 진국과의 결전을 강제하기 위해 돌아갈 길을 막고, 뒤돌아가지 못하도록 다리를 끊고 병기를 버리라는 의미로 주문한 것이었습니다.

     

    이 비범한 전략으로 후한 병사들은 물러나는 선택을 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진국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게 됩니다. 이 일화는 제갈공량의 뛰어난 전략적 사고와 창의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에피소드 중 하나입니다.

     

    삼국지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잘 반영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한번도 안 읽은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읽은 사람은 없다는 삼국지, 여러분께 추천합니다.

    댓글